정리 노트

광동문화에 관하여 정리

멋진 하루 인생 2015. 6. 8. 10:33
728x90

 

 


1. 지리
  광동성은 남중국해[南中國海;난하이(南海)] 연안에 위치하여 북동쪽으로푸젠성(福建省), 북쪽으로 장시성(江西省)과 후난성(湖南省), 서쪽으로 광시좡족자치구(广西壮族自治区), 남쪽으로 홍콩과 마카오와 접하고 있으며, 동남아를 마주보고 있다. 해안선은 3368km(도서를 포함하지 않는 해안선)에 달하고, 전체 지형은 북고 남저의 형세이다. 북부와 동북부, 서부는 비교적 높은 산맥들이 있고, 중부와 남부 연해 지역은 낮은 구릉, 더기(고원의 평평한 땅)와 평원이 많다. 산지와 구릉은 약 62%를 차지하고, 더기와 평원은 약 38%를 차지한다. 주요 산맥으로는, 롄화 산(蓮花山), 뤄푸 산(羅浮山), 주롄 산(九連山), 칭윈 산(青雲山), 화스 산(滑石山), 톈루 산(天露山), 윈우 산(雲雾山), 윈카이 대산(雲開大山) 등이 있다. 광둥 성의 가장 높은 지점의 해발고도는 1600m이다. 동북에서 서남까지 주향(走向)(또는 층향 :기울어진 지층면과 수평면이 만나서 이루는 직선의 방향)이 많이 나타나고, 그 방향이 또 해안선과 평행하다. 유역면적이 100km²이상인 강줄기도 모두 640갈래인데, 각각 주장(珠江)과 연해의 여러 하천의 수계에 속한다. 주로 둥장(東江), 베이장(北江), 시장(西江)과 한장(韓江)이 있다. 성내의 다년간 평균 강수량은 1774mm이다.
  광동성의 약칭하여 '웨[粤]'라고도 하며, 성도(省都)는 광저우[广州]이다. 춘추전국시대에는 웨[粤]라고도 하는 백월(百越)의 영토였고, 진(秦) 나라 때는 남해군(南海郡)이 설치되었으며, 당(唐) 나라 때는 영남도(岭南道)에 속하였다. 송(宋) 나라 때는 광남동로(广南东路)였고, 명(明) 나라 때 광둥성[广东省]이 설치되었다.면적은 약 17만 9800㎞이며, 광저우·선전[深圳]·주하이[珠海]·산터우[汕头]·사오관[韶关]·메이저우[梅州]·둥관[东莞]·중산[中山]·장먼[江门]·포산[佛山] 등 21개 지급시(地級市), 23개 현급시(县級市), 41개 현(县), 4개 자치현(自治县)을 두고 있다. 이 가운데 3분의 1 정도의 시현(市县)이 대외적으로 개방되고, 일류 국경출입구가 약 50곳이 있다. 1979년 대외경제 특수정책을 시행한 이래 150개 국가 및 지역과 경제무역 교류를 하고 있다. 미국·일본 등의 영사관이 주재하고 있다. 화물 물류의 3분의 2를 수상 운송하며, 시진(市镇)의 4분의 3 정도가 내지 하천의 항로를 통하여 바다와 연결된다.

2. 명소
1.광저우 타워(广州塔小蛮腰)
  광저우 타워(广州塔) 혹은 캔턴 타워(영어: Canton Tower)는 중화인민공화국 광저우 시에 위치한 방송전파용 타워이다. 지상 600m의 높이로 일본 도쿄에 위치한 도쿄 스카이 트리(634m) 다음으로 높은 전망 타워이다. 정식 명칭은 광저우 TV, 전망 타워( 广州电视台天文及观光塔)이며, 2005년 착공하여 2010년 10월 30일 개장했다. 현재 완공된 건축물 중 중화인민공화국에서는 가장 높은 건축물이며(비건물 건축물 포함), 이는 2014년 상하이 타워가 개장하기 전까지 계속된다.
  광저우 타워는 중국을 비롯한 한자권에서는 '광저우 타워'라는 정식 명칭을 사용하고 있지만, 영어로는 Guangzhou Tower가 아닌 'Canton Tower'라고 표기하고 있다. 이는 과거 광둥 성 광저우가 영어 명칭을 'Canton'으로 사용한 바가 있었기 때문이다. 초기 본 탑을 건설할 시의 명칭은 하이신 타워(海心塔) 였으며, 그 외에도 슬림 웨이스트(小蛮腰), 트위스트 파이어우드(扭纹柴), 양디엔펑(羊巅峰) 등 다양한 제안이 나왔으나, 최종 명칭은 광저우 타워로 정해졌다.

2.珠江주강
  주강 (중국어: 珠江,  Pearl River), 또는 월강(중국어: 粤江)은 중국 남부의 강이다. 길이 2,200 km로 창 강과 황하에 이어 중국에서 세번 째로 긴 강이다. 하류에서 주강 삼각주를 형성하며 홍콩과 마카오 사이를 지나 남중국해로 흘러든다.
  주강이라는 이름은 강 중류에 있는 모래와 자갈로 이루어진 하이주(海珠)에서 유래하였다. 이 섬은 유로의 변화 때문에 현재는 강둑이 되었다.
  주강은 시 강, 둥 강, 베이 강이 합쳐져 형성된다. 강은 광둥 성, 광시 좡족 자치구, 윈난 성, 구이저우 성의 대부분과 후난 성과 장시 성의 일부를 통과하며 409,480km²의 주 강 유역을 형성한다.
  하구에는 삼각주가 발달했으며, 주강 삼각주에는 홍콩, 마카오, 선전, 광저우 등의 대도시가 밀집해 있다.
  광저우시 한복판을 가로질러 남해로 흘러가는 주장은 광저우의 젖줄이다. 신선이 갖고 있던 구슬이 강에 떨어져 물이 맑고 밝게 빛난다는 전설을 가진 주장은 특히 달이 뜨면 더욱 영롱한 진줏빛을 내 낮보다 밤이 아름답다.
  밤바람을 맞으며 주장의 야경을 감상하는 나이트 크루즈는 그야말로 황홀지경. 각양각색의 아름다움을 뽐내는 고층건물과 화려한 조명이 진줏빛 강물과 어우러져 장관을 연출한다. 주장 양안에 산재한 명승고적과 건축물에 담긴 역사와 유래, 고사와 전설을 듣는 재미도 쏠쏠하다.
3. 石室圣心敎堂석실성심교당
  석실성심교당은 광저우시 이더루(一德路)에 위치하고 있으며 광저우 천주교 교구로는 가장 크며 특색 있는 교회이다. 1863년 기공하여 1888년에 완성되었기에 이미 130여년의 역사를 지닌 건물이다. 이 교회의 양식은 로마 양식을 그대로 따르고 있어 웅장한 모습을 보여준다. 또한 조각상은 모두 화강암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벽과 기둥도 모두 화강암을 사용하여 “석실(石室)”, “석실예수성심당”, “석실천주교당” 등으로 불리기도 한다. 광주에서 가장 큰 천주교당으로 총면적은 2754평방미터이고, 동서 넓이 35m, 남북 길이 78.69미터이며, 첨탑의 높이는 58.5m에 달한다. 이 교회의 성모마리아 상은 당시 40만 프랑을 들여 만들었을 정도로 공을 들였다고 한다

4. 光孝寺광효사
  광주에 위치하고 있는 이곳은 중국 화남지방에서 가장 오래되고 규모가 큰불교사원으로 예전에는 인도에서 명승들이 찾아와 이곳에서 포교를 했다. 원래 남월왕(南越王)인 조타의 집이었지만 삼국시대 “제지사(制止寺)”로 바뀌었다. 그 후 당나라 때인 676년 고승 혜능(慧能)이 여기에 중국식 불교종파(南宗)를 세워 절의 위상이 한층 올라갔다. 혜능은 광동성 신주(新州)에서태어나 세살 때 부친을 잃고 가난하게 자랐다. 어느 날 나무를 짊어지고 팔러 다녔는데 <금강경(金剛經)> 외는 소리를 듣고 출가할 결심을 하게 되었다 한다. 24세 때에 기주 황매산(黃梅山)의 동선원(東禪院)에 주처하고 있던 선종의 제5조 홍인(弘忍)을 찾아가 가르침을 받고, 나중에는 홍인으로부터 선법(禪法)을 물려받아 선종의 제6조가 된 고승이다. 혜능으로부터 선종이 크게 발달했다. 광효사는 당시 보은엄교사로 불렸다. 지금 이름은 남송(南宋)시기에 지어진 것으로 사찰 경내에는 혜능을 모신 육조전과 혜능이출가할 때 깎은 머리털을 묻고 그 위에 세운 발탑(髮塔)이 있다. 이 사찰은 남북조(南北朝)시대부터 지금까지의 불교유물을 남기고 있어서 중국 불교역사에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유적이다.

5.黃飛鴻武術館황비홍무술관
  영산(靈山)이라 불리는 중국 광동 남쪽의 명산인 서초산(西樵山)에서 중국무술계의 영웅, 황비홍 부자(父子)가 태어났다. 이들을 기념하기 위해 1996년, 황비홍의 출생지인 녹주(祿舟)에 기념관을 세웠는데 그것이 바로 지금의 황비홍 무술관이다. 이곳은 중국 국내뿐 아니라 해외에까지 황비홍을 아는 많은 사람들의 지원 하에 건설된 곳으로, 청(淸)나라의 건축양식을 따라했다.
관내에는 <황비홍연공휴게실>, <황비홍사적진열영사실>, <황비홍공원>, <황비홍무술학교>, <관덕흥기념관> 등 주제에 따라 다양하게 설비되어 있다. 또한 근 반세기 동안 황비홍을 주제로 한 영화만 거의 1000여 편에 다르고, 그 중 황비홍 무술의 대가인 관덕흥(關德興) 사부가 직접 참여한 영화만 77편이다.

6.中山纪念堂중산기념당
  중산기념당은 월수산 아래 동풍로에 위치해 있다. 1925년 손중산(孫文 : 쑨원) 선생이 별세한 후에 그를 기리기 위해 설계되었으며, 설계자는 여안직(呂彦直)이다. 1931년 11월에 공사가 완공되었다. 기념당 뒤에는 두 개의 2층 건물이 있는데, 현재 서쪽 건물은 '손중산사적진례관(孫中山史跡陳例館)'으로 손중산이 광주에서 혁명활동을 했을 때의 유품들이 전시되어 있다. 근처의 백보계단(百步梯)을 따라 올라가보면 손중산이 학문 수양을 기리는 기념비와 여언직이 설계한 중산기념비를 볼 수 있다. 이 기념비는 1929년에 만들어진 것으로, 높이가 37m이고 정방형으로 화강암으로 만들어졌다. 기념비 안의 나선형 계단을 따라 올라가면 기념당의 전모를 볼 수 있다.

7. 世界之窗심천의 테마파크 세계의 창
  심천은 등소평이 작정하고 만든 계획도시이다. 등소평은 개혁개방 정책의 시금석으로 심천을 중국에서 가장 먼저 개방한 경제 특구로 지정하였다. 그래서 외국인 집단 거주지역도 많고, 한국인들을 포함해서 일본이나 미국 등지의 외국인들이 많이 들어와서 일을 하고 있다. 개혁개방의 상징에 걸맞게 심천에는 세계 유명 건축물을 축소해서 만들어둔 ‘세계의 창’ 공원이 있다.
  세계의 창은 심천만 부근에 있는 화중지방 최대의 테마파크다. 엄청난 면적의 대지에 130여개의 세계적인 자연, 인문 경관들을 그대로 모방해 놓았다. 세계의 창 지하철역에서 내리면 루브르의 유리 피라미드를 통해 지상으로 나온다. 입구의 광장에는 분수가 하늘로 치솟고 커다란 베니스의 가면들과 파라오의 얼굴이 줄지어 서 있으며 미니 전차가 하늘을 달린다. 입구의 계단 위에는 그리스 신전의 기둥들이 서있고, 그 뒤로 에펠탑이 보인다. 세계의 창은 세계 광장, 태평양, 유럽, 아프리카, 미국, 조각공원, 국제거리 등 8개 구역으로 나뉘어 있다. 무엇보다 매일 저녁 세계 광장에서 열리는 대형공연이 볼만한데, 수백명의 중국, 외국의 연기자들이 화려한 공연과 퍼레이드를 펼친다.

8. 中華民俗文化村 심천중화민속문화촌
  중국 56개 소수민족중 조선족을 비롯한 21개 소수민족의 주거환경을 재현한 민속촌이다. 민속의상을 빌려주기 때문에 기념 촬영이 가능하며 원내의 곳곳에서 노래와 춤 공연을 관람할 수 있다. 또 각 민족의 전통요리를 맛볼 수도 있다. 중국 내에 있는 소수민족들의 문화와 민간예술, 풍속, 민속 건축물 등을 한 곳에 모아 만들어 놓은 대형문화유람지로 심천만에 위치하고 있으며 심천의 대표적 관광지인 소인국과 붙어있다. 총 55개 소수민족 중 조선족을 포함한 21개 민족을 선별하여 그 민족 고유의 전통문화를 그대로 반영한 24개 구역으로 나눠져 있다. 구역에는 해당 민족의 전통건축물은 물론 세세한 생활용품 하나하나까지 모두 원형 그대로 재현 되어 있으며, 실제로 고유 전통의상을 입은 사람들이 직접 실생활을 보여주면서 관광객들을 맞는다. 무엇보다 매일 여러 소수민족들이 벌이는 공연은 그들의 문화를 한층 더 이해할 수 있게 하는 자리이다. 민족별로 공연시간이 다르므로 입구에서 공연시간을 확인하고 일정을 조절하는 게 편리하다. 몽골족의 마상쇼와 저녁시간에 열리는 1,2부로 나눠진 종합공연은 매우 화려하고 볼거리가 가득한 공연으로 항상 관람석이 가득차있다. 이곳에는 소수민족들 전통요리와 기념품도 판매하고 있으므로 평소 관심있던 민족의 음식을 먹어보는 것도 괜찮을 것이다. 한국 요리도 조선족 민속촌 곁에 가면 먹을 수 있다.

9.佛山祖廟불산 조묘(주먀오)
  광주 남서쪽의 공예도시인 불산(佛山)에 있는 도교 사당이다. 송(宋)나라 때에 창건되었다가 명 홍무제때 중건된 홍태제의 신묘로서 사용된 이곳은 면적이3,000제곱미터에 이르며 전전(前殿), 정전(正殿),후루(後樓),향지(錦香池)와 만복대(萬福臺)의 5개 곳으로 나뉘어 있다. 이곳의 건축물들은 대부분 당대의건축양식의 특색을 살린 것으로 지방색이 농후하다. 그중 정전내의 북제 동상은 명(明)나라 때에 주조된 것으로서 무게가 2.5톤에 달하며, 당시 주조기술의 정도를 보여주고 있다. 전전(前殿)궤종과 큰 북이 각각 이곳 문의 좌우에 놓여져 있다. 이 궤종은 이곳의 묘신을 깨워 향자(香者)를 맞기 위함이라고 한다. 정전(正殿)이 묘의 신인 진무제(眞武帝) 동상이 명조에 주조되었는데, 그 공예기술이 정교하고 깊다. 동상옆에는 작은 무제동상이 양쪽에 기대어 의장, 병기를 들고 있는데, 전설에 따르면 매년 음력 3월 초3은진무제의 생일로 과거에는 이때가 되면 부근의 농민들이 의장을 들고 진무소동상에 나갔는데, 그때 그 의장대들이 들고 다니는 팻말에는 금언(禁言)이 쓰여있었다고 한다. 금향지(錦香池)전전앞쪽에 있는 이 연못에는 거북이, 뱀의 석상이 있다. 이 동물들은 옛부터 사람들이 장수와 행운을 가져다준다고 믿었고 지금도 이 연못에 동전을 던지며 장수와 운을 비는 사람들로 붐빈다. 만복대(萬福臺)금향지 맞은편에 있는 이곳은 1658년도에 만들어진 연극무대로서 광동에 남아있는 가장 오래된 무대이다. 옛부터 매년 진무제의 생일이 되면 사람들이 이곳으로 몰려와 이곳에서 상연되는 극을 보곤 했다고 한다.

10.海战博物馆해전박물관
  중국 광동성 둥관(동관)에 있다. 1839년 아편을 불태운 린쩌쉬[(임칙서]를 기리는 기념관으로 1957년 설립되었다. 린쩌쉬가 아편을 불태운 사건에 대한 역사 자료와 유물, 아편전쟁의 폐허가 된 포대 자리 등을 보여주고 있다. 아편전쟁 당시 후먼해전(호문해전)의 모습을 볼 수 있다. 모형과 영상 등으로 당시 전쟁의 모습을 보여준다. 박물관 옥외에는 보루식의 문루(門樓)와 전쟁영웅 조각, 아편전쟁을 이끈 임측서(林則徐)의 조각, 아편소각 기념비, 고대의 포 등이 어제의 역사를 말해준다.
박물관 내부에는 색바란 사진들과 못생긴 총들이 전시되어 어젯날 아편전쟁이 안겨준 어려움을 이야기한다. 임측서를 위시한 중국군대가 노획한 영군군대의 총과 대포들은 아편전쟁을 가장 잘 보여주는 물증이기도 하다. 호문 해구 동안의 위원(威遠) 포대 유적에 위치한 호문 해전 박물관은 진렬건물과 광장, 관해언제 등으로 구성되어 1841년에 발발됐던 호문해전의 장엄한 광경을 구현한다.
해전박물관 내부에는<아편전쟁 해전 전시>와 <호문해전> 벽화, 포대 유적지에서 출토된 포탄 등 이 전시되어 어제의 모습을 다시 보여준다.


3. 언어
  광둥지방의 중국어는 광둥어, 객가어(客家话), 차오저우어(潮州话), 레이저우어(雷州語), 사오저우 방언(韶州土語) 등을 포함한다. 그 중 토어(土語) 제외하고, 나머지는 각각 중국어 7대방언중의 월방언, 객가 방언, 민방언에 속하고, 이 삼대방언을 모어로 하는 사람들은 광둥 본지인의 약 45%, 30%, 25%를 차지한다.
광둥의 광저우어(廣州話)와 메이현어(梅縣话)는 각각 중국어의 월 방언과 객가 방언의 대표음으로 중국어 방언에서 중요한 자리를 차지한다. 이 밖에 광둥 성에서는 표준어도 많이 사용하고 광둥 본지의 소수민족 언어와 외부성에서 들어온 방언도 많이 사용하고 있다.
• 월방언(粤方言)
  월어(粤語) 또는 백화(白話), 광둥어 혹은 월방언이라고 칭하고, 영어로는 Cantonese라고 한다. 월방언은 한 장어계(漢藏語系)에 속하는 성조를 가진 언어이다. 중국 남방의 광둥 성 중서부, 광시 성의 중남부 및 홍콩, 마카오와 동남아의 일부 국가나 지역, 해외 화교 거주 지역에 널리 퍼져 사용되고 있다. 월방언이라는 명칭은 중국고대에 남방에 대해 월(越) 혹은 월(粤)이라고 칭했던 것에서 유래한다. 언어학 분류상 중국학자와 서양학자간에 의견이 갈라져서 월방언을 하나의 방언으로 볼 것인가, 아니면 독립된 언어로 볼 것인가 하는 논쟁이 있어 왔다. 현재 전 세계에 월방언 사용 인구는 대략 6600만에서 1억2천만 정도 되고, 사용되는 지역이 매우 광범위하다.
• 객가방언(客家方言)
객가어는 객화, 객어라고도 한다. 언어학자들은 객가어를 방언에 귀속시켜야 하는지, 아니면 하나의 언어로 봐야 하는지에 대해 여전히 논쟁하고 있다. 객가어는 주로 광둥 성의 동부, 푸젠 성의 서부, 장시 성의 남부 접경의 장시 푸젠 광둥 객가구(贛閩粵客家地區), 그리고 중국 남방과 타이완(臺灣), 홍콩, 마카오, 해외 화교거주 지역 등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그 언어의 역사는 매우 유구하나, 객가어라는 정식명칭을 얻은 것은 20세기의 일이다. 언어학상으로, 객가어의 대표음은 광둥 메이저우(梅州)지역에서 사용하는 메이현어(梅縣話)를 가리키는데, 최근에는 타이완의 스셴화(四縣話)와 광둥의 후이양화(惠阳話)도 꽤 강세를 나타내고 있다.
• 차오저우방언(潮州方言)
조어, 일반적으로 차오저우어라고 한다. 중국어 방언 중의 하나이며, 광둥 성 동부의 차오산(潮汕)지역과 해외 화교지역 등에서 사용한다. 영어로 Teochew 또는 Chiuchow라고 일컬어지며, 이것은 “차오저우”(潮州) 두 글자를 음역한 것이다. 차오저우방언 사용지역에서 사전, 전문 저술 등 학술성 저작들은 전체적으로 차오저우어를 표준으로 삼고, 최근에 ‘차오산화(潮汕話)’라는 새로운 명칭이 출현했지만, 일부 사람들(주로 차오저우시민)은 차오저우어라는 명칭을 사용할 것을 고수하고 있다.
• 레이저우어(雷州語)
레이저우화 또는 리어(黎語)와 레이어(雷語)로 불리기도 한다. 민난(閩南)방언의 한 갈래에 속하고 현재 주로 레이저우반도의 레이저우, 쉬원(徐聞), 수이시(遂溪) 등지에서 사용한다. 레이저우어를 사용하는 레이저우 인구는 약 400만 명이다. 레이저우어의 사용자는 당대에 민난 지역에서 온 이주민들이지만, 레이저우어는 현재 민난 지역의 언어와 상당한 차이를 보인다.
• 사오저우방언(韶州土話)
아오베이투화(粵北土話)는 과거에 사오저우투화(韶州土話)라 불렸고, 현지인들은 “스포화(蝨婆話)”라고 한다. 광둥의 북부 러창(樂昌), 런화(仁化), 루위안(乳源), 취장(曲江), 난슝(南雄), 전장(湞江), 우장(武江), 롄저우(連州), 롄난(連南) 등의 현(縣)에서 사용한다. 아오베이(粵北)방언에 대한 귀속 문제는 지금까지도 정설이 없다. 어떤 학자는 아오베이방언은 송대(宋代) 간어(贛語)의 기초위에 객가어와 월방언, 시난관화(西南官話) 등의 혼합성 방언이 혼합되었다고 주장하기도 한다.

4. 풍속
4.1 광동인의 특징
  광동인들은 이재(理財)에 열심이고 관상·풍수(风水)·점복(占卜)에 지나칠 정도로 집착한다. 집집마다 돈을 가져다준다는 재신(財神)을 모셔놓고서는 부모 모시듯이 떠받든다. 음악과 문학 등을 거론할라치면 "그것은 역사의 유산"이라며 가볍게 제쳐놓고 돈 모으는 얘기에 다시 열심이다.  돈을 번다는 뜻인 파차이(发财)의 파(发)와 발음이 비슷한 숫자 '8'을 이상하리만치 중히 여긴다.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광저우 무역관 어성일 차장은 "광저우는 중국에서 가장 오래 되고 규모 또한 최대인 상업무역항이었으며 1천8백여 년 전인 삼국시대에 이미 동서를 잇는 해상 실크로드의 기점 역할을 했다"며 "이처럼 유구한 전통이 오늘날 금전을 숭배하는 광동인들의 기질을 만든 것으로 보인다. "고 말했다.


4.2 '광동성' 유명 인물
* 황비홍(黄飞鸿) - 홍가권의 일대종사로 전설적인 무예가이자 의사, 항일독립운동가
* 캉유웨이(康有爲) - 청나라 말기의 정치 개혁가로 변법자강운동의 주도자였다.
* 이소룡(李小龙)- 20세기를 통틀어 가장 큰 영향력을 가졌던 무술가이자 무술 배우였다.
* 쑨원(孙文/孙中山)-외과 의사이자 정치가이며 신해혁명을 이끈 혁명가, 중국 국민당(中国国民党)의 창립자이다.

4.3 전통극 월극(粵劇)
* 월극은 광동지역 지방희로 그 원류는 명나라 가정(嘉靖) 때로 거슬러 올라간다. 300년 이상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광동 지역에서 가극 형태로 연행되었다. 월극은 광동방언으로 공연되고, 노래곡조는 서피(西皮)와 이황(二簧)이 주를 이룬다. 현재 월극은 광동, 광서(广西), 홍콩, 마카오 등지에서 널리 유행하고 있다. 절강성 지방희인 월극(越剧)과 구별해야 한다.
* 별칭: 광동 오페라(Guangdong Opera), 광부 오페라(Guangfu Opera)
* 광동성의 불산시(佛山市)는 월극의 고향이라고 불어지고 있다.
*  2009년 10월 2일, 홍콩 최초 세계무형문화유산 보유 광동성이 발원지인 캔톤오페라 월극이 유네스코 세계무형문화유산에 이름을 올렸다. 홍콩, 마카오와 광동성 3지역 정부는 이 기회를 통해 월극의 보급과 확대 강화하는 방안으로 역사 및 계파 정리와 함께 더 많은 공연 기회를 대중에게 제공할 계획이라고 발표했다.

4.4 사자춤(舞狮)
  중국 영화를 보면 자주 나오는 놀이 중의 하나가 사자춤이다. 이연걸이 출연한 황비홍 시리즈에 특히 많이 나오는데, 광동인들은 춘절이 되면 사당(庙会) 앞 부근 농가에서 모여들어 사자춤을 춘다. 이는 백수의 왕으로 불리는 사자의 위엄을 빌어 모든 사악한 것을 피하기 위함이었다고 한다.

4.5 풍수(風水)
  바람과 물, 즉 풍수(风水)가 광동에서 크게 유행하고 있다. ‘바람을 감추고 물을 얻는다’는 의미의 ‘장풍득수(藏风得水)’에서 나온 풍수를 빼면 광동을 제대로 이해할 수 없다는 얘기도 나온다. 광동에서는 대형 건축물이나 서민의 집 설계는 물론, 사무실의 책상 방향과 이사·개업 날짜, 개명(改名) 등도 풍수사의 조언을 받는 경우가 많다.

4.6 건축
 광동에서 특색이 있고 유명한 건축은 객가 주민들이 거주하고 있는 위룡옥(围龙屋)이다. 객가 산가는 매주문화의 중요한 조성 부분으로 이로써 객가 남여의 사랑, 노동의 낙(乐趣)을 전달하였다.

4.7 종교
* 불교 - 불교신자는 약 32만 명이며, 광둥 성에는 중국의 대표적인 불교 사원들이 분포하고 있다. - 사오관 난화찬쓰(韶关南华禅寺), 광저우 류롱쓰(广州六榕寺), 광샤오쓰(光孝寺),루위안셴 윈먼쓰(乳源县云门寺),자오칭 칭윈쓰(肇庆庆云寺),차오양셴 링산쓰(朝阳县灵山寺),차오저우 카이위안쓰(潮州开元寺).
* 도교(道教) - 도교신자는 12만 명 정도이며, 보뤄셴 뤄푸산(博罗县罗浮山)에 있는 총쉬고관(冲虚古观)은 대표적인 도교 사원이다.
* 개신교(基督新教) - 개신교는 1807년 처음으로 광둥을 거쳐 중국으로 들어오게 되었다. 1949년 광둥에는 약 9만 명의 개신교 신자들이 있었으며 개신교 신자가 많은 성으로 분류되었었다. 현재는 약 30만 명으로 늘었지만, 전국 범위에서 보면 신자 수가 적은 편이다. 신자의 대부분은 광둥 동부지역의 객가인(客家人)과 차오저우인(潮州人)이다. 객가인 지역에 개신교가 전파된 것은 스위스 바젤 선교단에 의해서였다.
* 천주교(天主教) - 신자수는 약 20만 명이며 대부분 산터우 교구(汕头教区)에 속해 있다. 자오칭시(肇庆市)는 명대 1583년에 마테오 리치(利玛窦) 선교사(传教士)가 중국 내륙 도시 중 처음으로 들어 온 곳이었다.
* 이슬람교 - 광저우와 자오칭(肇庆)에 약 2만 명의 무슬림(穆斯林)이 있다.

4.8 식탁 서열(饭桌就坐顺序)
  광동에서는 식탁에도 서열이 있다. 광동인들은 작은 규모의 식당을 제외하고는 통상 원탁 식탁에서 식사를 하는데, 이는 지위나 서열에 따라 좌석의 위치가 정해지기 때문이다.
  식사를 초대하는 사람은 문을 바라보는 맞은편에 앉고, 접대를 받는 사람 중 가장 서열이 높은 사람은 이 초대자의 오른편, 접대받는 사람 중 두째 서열의 손님은 초대자의 왼편에 앉는다. 초대자 중 두 번째 서열의 사람이 문을 등지고 앉고, 접대받는 사람의 세 번째 서열의 손님이 오른편, 접대받는 사람의 네 번째 서열의 손님이 왼편에 앉고 나머지 사람들은 서열에 관계없이 앉는다. 식사할 때 좌석 위치만으로 손님들의 서열이 나타나므로 음식을 나르는 사람은 누구 앞에 음식을 놓아야 할지 금방 알게 된다. 통상 접대받는 사람 중 서열이 가장 놓은 사람 앞에 음식을 가져다 놓는다.

5. 음식
중국 남부를 대표하는 요리는 광저우(廣州)를 중심으로 푸젠(福建), 차오저우(潮州), 둥장(東江) 지방 요리가 있다. 남부지방은 농산물이 매우 풍부하고 외국과의 교류도 빈번했던 지역이어서, 일찍부터 그 요리가 외국에 알려져 중국 요리라면 광동 요리로 생각되었을 정도이다. 이러한 이유로 광동요리의 특색에 대해 간단히 소개를 하고자 한다.
· 광동요리의 특색
중국 광동요리는 "粤菜"(위에차이)라고 하며 사천요리, 산동요리, 복건요리와 더불어 중국 4대 요리에 속하며 실질적으로 중국인들에게는 최고의 요리로 인식이 된다. 온난습윤 한 사바나 기후에서 자라는 다양한 과일과 남쪽 바다에서 나온 어패류, 아열대성 채소를 사용하여 맛이 신선하고 담백한 것이 특징이다. 이렇게 다양한 식재료를 가지고 있어, 네발 달린 것이면 책상 빼고 무엇이든 요리로 만들어진다는 말이 이곳에서 나왔다고 할 수 있다. 〈식재광주〉(食在廣州)라는 말이 나타내듯 광저우의 시장에는 제비집, 개, 고양이, 뱀 등 매우 특이한 식재료들이 팔리고 있다. 야생동물을 이용한 요리는 야미 요리로 불리지만, SARS가 발생하면서 동물에 의한 감염이 우려되어 일부 규제되고 있다.
  조리 상의 특징은 야채의 특색을 살리고 쌀을 볶아 만든 것이 기본이고, 푹 삶아 맛을 내는 냄비요리와 해산물을 이용한 요리가 일반적이다., 면은 쌀로 만든 면이 일반적이고, 밀을 이용한 면이 있다. 국수류는 면발이 가늘고, 잡채나 팔보채, 중화정 같은 요리가 대표적인 음식이다.
  또한 포르투갈 식민지 시대에 전해오던 요리기법이나 홍콩이나 마카오에 존재하던 유럽인들에 의해 서양 요리나 인도 요리, 말레이시아 요리, 타이 요리, 베트남 요리 등의 기법이 반입되어 마카오만의 독특한 퓨전 음식이 탄생하였다. 이러한 결과로 에그타르트(단달)이라고 불리는 카스타드 크림의 계란 과일파이 과자나 중화풍 비프스테이크, 하트시 등의 절충 요리가 태어났다. 또한 카레가루나 토마토케첩, 사다장(사테소스) 같은 세계의 조미료도 자주 사용된다.
광동 요리는 부드럽고 담백하며, 기름지지만 느끼하지 않다. 특히 광저우는 16세기에 스페인, 포르투갈의 선교사, 상인들이 많이 왕래하였기 때문에 지역의 음식을 국제적인 음식으로 발달시켰고, 사람들은 일찍부터 광동 요리가 천하제일이라고 칭찬하였다. 또한 재료가 가지고 있는 자연의 맛을 잘 살린 담백한 맛이 특징인데, 서구 요리의 영향을 받아 쇠고기, 서양 채소, 토마토케첩, 우스터셔 소스 등 서양 요리의 재료와 조미료를 받아들인 요리도 있다. 재료를 지나치게 익히지 않고 비교적 간을 싱겁게 하며 기름도 적게 써서 산뜻한 맛을 지닌다. 또한 음식의 색채와 장식에 중점을 두었다.
  또 광동 지방이 해산물도 풍부하고 강우량이 많아 농사짓기에도 적합했기 때문에 가장 풍요로운 식생활을 누려온 지방인 것은 틀림없다. 저도 개인적으로 평가했을 때 중국음식 중 광동 음식이 제일 뛰어나다는 것에 동의한다. 여러 가지를 맛보기 위해 소량의 음식(딤섬:点心)을 차와 함께 먹고 마시는 습관인 '얌차(飮茶)'도 광동 지방 고유의 풍습이다.
 
· 광동 요리의 대표적인 음식
  광동 요리의 대표적인 것으로는 구운 돼지고기인 차사오(叉燒)와 어린 통돼지구이인 피옌피루주(片皮乳猪), 광동식 탕수육인 구라오러우, 상어지느러미 요리, 딤섬, 딤섬과 함께 차와 마시는 얌차(飮茶)이다.


출처
*네이버 두산백과
*위키백과
*중국행정구획총람
*http://zh.wikipedia.org/wiki/%E5%B9%BF%E4%B8%9C%E7%9C%81#.E5.AE.97.E6.95.99
*http://www.berlinreport.com/bbs/board.php?bo_table=free&wr_id=8597&sca=%EC%9D%BC%EB%B0%98&page=96

 

 

'정리 노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사때 쓰이는 향에 대하여  (0) 2015.06.23
중국의 공예 문화  (0) 2015.06.21
중국의 문화 유산  (0) 2015.06.06
광동 문화의 지리,명소,언어,음식  (0) 2015.06.06
동북 아시아에대해 알아보자.  (0) 2015.06.04